풀라드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라드 FC는 1971년 이란 아흐바즈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이란 프로 리그(IPL)에서 2번(2004-05, 2013-14), 하즈피 컵에서 1번(2020-21)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 후반 이란 1부 리그로 승격했으며, 유소년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많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현재는 풀라드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이스테글랄 후제스탄 FC와 아흐바즈 더비를 펼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풀라드 FC - 가디르 스타디움
가디르 스타디움은 이란 아바즈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74년 설계되어 이란 혁명과 전쟁으로 중단되었다가 1989년 재개되어 2012년 완공되었으며 38,900석 규모를 갖추고 있다. - 1986년 설립된 축구단 - 스톡스브리지 파크 스틸스 FC
스톡스브리지 파크 스틸스 FC는 1986년 두 클럽의 합병으로 창단된 잉글랜드 축구 클럽으로, 노던 프리미어 리그까지 승격, FA컵 대승, 유명 선수 배출 등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브래컨 무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라이벌 관계도 형성하고 있다. - 1986년 설립된 축구단 - 광저우 시티 FC
광저우 시티 FC는 1986년 선양 진더로 창단되어 여러 차례 연고지 변경과 구단명 변경을 거쳐 광저우로 이전했으며, 2014년 중국 슈퍼리그 3위를 기록했으나 2023년 해체되었다. -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 구단 - 세파한 SC
세파한 SC는 1953년 창단되어 이란 프로 리그에서 5번 우승하고, AFC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에 이란 클럽 최초로 진출한 이란의 축구 클럽이다. -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 구단 - 조브 아한 이스파한 FC
조브 아한 이스파한 FC는 1969년 창단되어 페르시아만 프로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이란 이스파한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하즈피 컵 4회 우승과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풀라드 샤르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풀라드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풀라드 후제스탄 축구 클럽 |
별칭 | 풀라드 마르단 (강철 군단) 후제스탄의 표범 |
약칭 | 없음 |
창단 | 1971년 3월 2일 |
해체 | 없음 |
홈 경기장 | 풀라드 아레나 |
수용 인원 | 30,655명 |
구단주 | 풀라드 후제스탄 회사 |
회장 | 후샹 나시르자데 |
감독 | 야흐야 골모함마디 |
리그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
시즌 | 2023–24 시즌 |
리그 순위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11위 |
웹사이트 | 풀라드 FC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
세 번째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2. 클럽 역사
2. 1. 창단 초기 (1971–1995)
풀라드 후제스탄 FC는 1971년 3월 2일, 당시 풀라드 후제스탄 사의 사장이었던 알리 아크바르 다바르에 의해 이란 아흐바즈에서 창단되었다. 풀라드는 1991년 아흐바즈 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2년 후 후제스탄 축구 리그 2부 리그에 진출했다.2. 2. 상위 리그로의 도약 (1995–2001)
1995년, 풀라드 FC는 후제스탄 2부 리그에서 챔피언이 되었다. 같은 해 조노브 아바즈가 해체되면서 풀라드가 이란 축구 2부 리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1996년, 호마윤 샤흐로키네자드 감독 아래에서 팀은 이란 축구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풀라드는 1986년 아바즈 시 4부 리그에서 시작하여 10년 만에 국내 최상위 축구 리그로 승격한 것이다.2. 3. 프란치치 감독 시대 (2004–2006)
풀라드는 2004-05 시즌 이란 프로 리그(IPL)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이어진 몇몇 내부 문제와 코칭 어려움으로 인해 2006년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우승 당시 스타 플레이어와 MVP 획득 선수들은 임대 이적 등으로 아랍에미리트(UAE)의 알 샤밥 등으로 이적했다.2. 4. AFC 챔피언스 리그와 강등 (2006–2007)
2005-06 시즌의 부진한 성적 이후, 풀라드는 전 이란 국가대표팀 감독인 모하마드 마일리 코한과 함께 2006-07 시즌을 시작했지만, 성적 부진으로 시즌 중반에 사임했다. 유소년 클럽 코치인 네나드 니콜리치가 임시로 그를 대신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포르투갈 감독인 아우구스투 이나시우가 수석 코치로 임명되었다. 풀라드는 15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아자데간 리그로 강등되었다.2. 5. 1부 리그 복귀와 잘랄리 감독 시대 (2007–2012)
풀라드 FC는 2007-08 시즌 아자데간 리그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페이암 마슈하드와의 2차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격에 실패했다. 몇 주 후, 세파한 노빈으로부터 페르시안 걸프 컵에서 뛸 권리를 구매하여 IPL로 복귀했다. 이후 마지드 잘랄리가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8-09 시즌 리그 7위를 기록했다.2009년 9월 1일, 세이폴라 데흐코르디가 클럽 회장으로 선출된 후, 마지드 잘랄리는 클럽을 떠났고 루카 보나치치가 후임으로 임명되었지만,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다시 마지드 잘랄리가 감독으로 복귀하여 2009-10 시즌 리그 10위를 기록하였다.
2. 6. 파라키 감독 아래 리그 우승 (2012–2014)
호세인 파라키가 나프트 테헤란 FC 감독직을 ছেড়ে 풀라드의 새 감독으로 부임했다. 파라키 감독 부임 후, 풀라드는 2012-13 시즌 4위를 기록하며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2013–14 이란 프로 리그 시즌에는 승점 57점으로 페르세폴리스 FC를 2점 차로 제치고 두 번째 이란 프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3. 유소년 아카데미
1999년 4월, 풀라드 FC는 이란 축구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유소년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2000년에 개설된 이 아카데미는 현재까지 400명 이상의 프로 축구 선수를 배출했으며, 세파한 FC와 함께 이란에서 손꼽히는 유소년 아카데미로 평가받고 있다. 이만 모바알리, 아라쉬 아프신, 바흐티야르 라흐마니, 카베 레자이 등 많은 유명 선수들이 풀라드 유소년 아카데미를 거쳐 갔다.
4. 라이벌
풀라드 FC는 신생 클럽인 이스테글랄 후제스탄과 아바즈 더비에서 경쟁한다. 두 팀은 2013-14 시즌에 처음 만났으며, 이 경기에서 이스테글랄 후제스탄이 패했다.
5. 경기장
풀라드 FC는 2019년부터 신축된 30,655석 규모의 풀라드 아레나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이전에는 2012년까지는 타흐티 스타디움을, 2012년부터 2019년까지는 가디르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6. 선수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른다.
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알리레자 사리미 |
3 | DF | 레오나르도 메사리치 |
4 | DF | 아이유브 발리 |
5 | MF | 메흐디 바르들루 |
7 | FW | 소루쉬 라피에 |
8 | FW | 사산 안사리 |
9 | FW | 이만 무사비 |
10 | FW | 에스마일 샤리파트 |
11 | MF | 바흐티야르 라흐마니 |
14 | MF | 셰합 카라미 |
15 | MF | 마티아스 차고 |
16 | FW | 아라쉬 아프신 |
19 | DF | 바흐만 카멜 |
20 | MF | 아흐마드 압돌라자데 |
21 | DF | 오미드 할레디 |
22 | FW | 메흐디 니야이쉬푸르 |
23 | MF | 바리드 마샤이저데 |
24 | DF | 메흐르다드 자마아티 |
25 | DF | 모함마드 아할레 샤헤 |
26 | FW | 바흐만 자한티그 |
27 | DF | 레자 아흐마디 |
29 | MF | 알리 시나 라바니 |
31 | GK | 밀라드 호마유니 |
32 | MF | 하디 하비비네자드 |
33 | DF | 소루쉬 사이디 |
40 | DF | 유세프 바키야 |
63 | GK | 에르샤드 유세피 |
GK | 베흐남 무사비 | |
DF | 알리 골바니 |
6. 1. 현재 선수 명단
풀라드 FC의 현재 선수 명단은 2024년 9월 18일 기준이다.[3]등번호 | 포지션 | 선수 이름 |
---|---|---|
1 | GK | 웃키르 유수포프 |
2 | DF | 모지타바 나자리안 |
3 | FW | 사산 안사리 (주장) |
4 | DF | 아이유브 발리 |
5 | DF | 무사 쿨리발리 |
6 | DF | 알리 네마티 |
7 | FW | 모하마드 자바드 모하마디 |
8 | MF | 하미드 부 함단 |
9 | MF | 에산 파흐레반 |
10 | MF | 시나 모리디 |
11 | FW | 모하마드 레자 숄레이마니 |
14 | MF | 모하마드 아바시 |
15 | MF | 마티아스 차고 |
16 | FW | 아라쉬 아프신 |
17 | MF | 아미르마수드 사라바다니 |
18 | MF | 알리 콜라카즈 |
19 | DF | 모하마드 카데미 몬파레드 |
20 | MF | 아흐마드 압돌라자데 |
21 | DF | 오미드 할레디 |
22 | GK | 알리레자 나지 |
23 | MF | 샤힌 타바콜리 |
24 | DF | 베흐남 테이무리안 |
25 | DF | 모함마드 아할레 샤헤 |
26 | DF | 모하마드알리 카제미 |
27 | MF | 알리 아스가르 아라비 |
29 | FW | 침바 (부주장) |
30 | DF | 아라시 아크바르자데 |
31 | GK | 밀라드 호마유니 |
32 | MF | 하디 하비비네자드 |
33 | DF | 아미르호세인 네샤트조 |
40 | DF | 유세프 바키야 |
44 | DF | 알리 하사니 |
49 | GK | 아디브 자레 |
63 | GK | 에르샤드 유세피 |
66 | MF | 아민 사에디 |
70 | MF | 유세프 마즈래 |
77 | MF | 모하마드레자 케샤바르지 |
79 | MF | 시나 아사드베이기 |
83 | MF | 아민 모라디 |
84 | GK | 호세인 카제미니아 |
88 | MF | 알리레자 바비예 |
90 | MF | 모하마드 아스카리 |
99 | FW | 아민 가세미네자드 |
GK | 베흐남 무사비 | |
DF | 알리 골바니 | |
DF | 레오나르도 메사리치 | |
GK | 알리레자 사리미 |
최근 이적 정보는 2023년 여름 이란 축구 선수 이적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6. 2. 역대 주요 선수
풀라드 FC에서 활동한 주요 선수로는 2002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야흐야 골모하마디, 에브라힘 미르자푸르가 있다. 2004년 AFC 아시안컵에는 호세인 카에비가 참가했다. 또한, 2006년 FIFA 월드컵에도 호세인 카에비, 에브라힘 미르자푸르가 풀라드 FC 소속으로 참가했다.AFC 소속 선수로는 일본의 아카호시 타카후미가 있다.
7. 코칭 스태프 및 경영진
wikitext
- 호마윤 샤흐로피 (1996–97)
- 레프테 세바라다란 (1997–98)
- 마지드 바게리니아 (1998–99)
- 빈코 베고비치 (1999–03)
- 루카 보나치치 (2003–04)
- 므라덴 프란치치 (2004–06)
- 네나드 니콜리치 (2006)
- 모함마드 마일리 코한 (2006–07)
- 압돌라 베이시 (2007년 7월-2007년 12월)
- 네나드 니콜리치 ''(대행)'' (2007)
- 아우구스토 이나시오 (2007년 1월-2008년 4월)
- 길레르메 파리냐 (2008)
- 마지드 잘라리 (2007–09)
- 루카 보나치치 (2009년 7월–9월)
- 마지드 잘라리 (2009-2012년 6월)
- 호세인 파라키 (2012년 7월-2014년)
- 드라간 스코치치 (2014년-2016년)
- 나임 사다비(2016년-2017년)
후안 이그나시오 마르티네스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코치는 모하마드 코람가fa, 호세인 카제미fa, 아흐마드 알레네메fa이다. 골키퍼 코치는 나데르 고베이샤비fa가 담당하고 있다. 운동 코치는 알리레자 아흐메다이fa, 체력 코치는 메르다드 바흐티야르자데fa이다. 팀 닥터는 아크바르 모라디fa, 물리치료사는 파얌 아흐마디fa이다.
이름 | 직책 |
---|---|
베흐남 타기자데fa | 안마사 |
이만 사이디fa | 안마사 |
소헤일 에흐야에이fa | 미디어 담당자 |
모하마드 알라비 | 팀 매니저 |
최종 업데이트: 2022년 8월 11일
하미드레자 샤바니가 풀라드 FC의 회장이다. 이사진으로는 하비볼라 레자에이, 하미드레자 라드키아, 모하마드 로즈베하니, 오미드 아흐마디가 있다.
직책 | 직원 |
---|---|
회장 | 하미드레자 샤바니 |
이사 | 하비볼라 레자에이 |
이사 | 하미드레자 라드키아 |
이사 | 모하마드 로즈베하니 |
이사 | 오미드 아흐마디 |
최근 업데이트: 2023년 3월 15일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40413124605/http://fooladfc.com/ 이사회
7. 1. 현재 코칭 스태프
후안 이그나시오 마르티네스가 감독을 맡고 있으며, 코치는 모하마드 코람가fa, 호세인 카제미fa, 아흐마드 알레네메fa이다. 골키퍼 코치는 나데르 고베이샤비fa가 담당하고 있다. 운동 코치는 알리레자 아흐메다이fa, 체력 코치는 메르다드 바흐티야르자데fa이다. 팀 닥터는 아크바르 모라디fa, 물리치료사는 파얌 아흐마디fa이다.이름 | 직책 |
---|---|
베흐남 타기자데fa | 안마사 |
이만 사이디fa | 안마사 |
소헤일 에흐야에이fa | 미디어 담당자 |
모하마드 알라비 | 팀 매니저 |
최종 업데이트: 2022년 8월 11일
7. 2. 경영진
wikitext하미드레자 샤바니가 풀라드 FC의 회장이다. 이사진으로는 하비볼라 레자에이, 하미드레자 라드키아, 모하마드 로즈베하니, 오미드 아흐마디가 있다.
직책 | 직원 |
---|---|
회장 | 하미드레자 샤바니 |
이사 | 하비볼라 레자에이 |
이사 | 하미드레자 라드키아 |
이사 | 모하마드 로즈베하니 |
이사 | 오미드 아흐마디 |
최근 업데이트: 2023년 3월 15일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40413124605/http://fooladfc.com/ 이사회]
8.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드라간 스코치치/Dragan Skočićhr | 2014 ~ 2016 |
/Afshin Ghotbi영어 | 2018 ~ 2019 |
자바드 네쿠남/جواد نکونامfa | 2019 ~ 2021 |
자바드 네쿠남/جواد نکونامfa | 2021 ~ 2023 |
야흐야 골모함마디/یحیی گلمحمدیfa | 2024 ~ |
드라간 스코치치는 2014-15 시즌 팀을 리그 5위로 이끌며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기여했다. 자바드 네쿠남은 이란의 전 국가대표 선수로, 풀라드 FC 감독으로 2020-21 시즌 하즈피 컵 우승을 이끌었다.
9. 역대 시즌
연도 | 리그 | 순위 | 하즈피 컵 | ACL | |
1990–91 | 아흐바즈 시 리그 1 | 1위 | 개최되지 않음 | 진출 실패 | |
1991–92 | 주 리그 3 | 7위 | |||
1992–93 | 주 리그 3 | 1위 | |||
1993–94 | 주 리그 2 | 1위 | |||
1994–95 | 주 리그 1 | 1위 | |||
1995–96 | 이란 2부 리그 | 7위 | |||
1996–97 | 이란 2부 리그 | 2위 | |||
1997–98 | 아자데간 리그 | 10위 | |||
1998–99 | 아자데간 리그 | 7위 | |||
1999–00 | 아자데간 리그 | 10위 | |||
2000–01 | 아자데간 리그 | 8위 | 8강 | ||
2001–02 | 프로 리그 | 3위 | 8강 | ||
2002–03 | 프로 리그 | 7위 | 8강 | ||
2003–04 | 프로 리그 | 3위 | 8강 | ||
2004–05 | 프로 리그 | 1위 | 16강 | ||
2005–06 | 프로 리그 | 8위 | 16강 | 조별 리그 | |
2006–07 | 프로 리그 | 15위 | 16강 | 진출 실패 | |
2007–08 | 아자데간 리그 | 1위 | 준결승 | ||
2008–09 | 프로 리그 | 7위 | 8강 | ||
2009–10 | 프로 리그 | 10위 | 16강 | ||
2010–11 | 프로 리그 | 6위 | 준결승 | ||
2011–12 | 프로 리그 | 14위 | 8강 | ||
2012–13 | 프로 리그 | 4위 | 16강 | ||
2013–14 | 프로 리그 | 1위 | 준결승 | 16강 | |
2014–15 | 프로 리그 | 5위 | 32강 | 조별 리그 | |
2015–16 | 프로 리그 | 12위 | 16강 | 진출 실패 | |
2016–17 | 프로 리그 | 10위 | 16강 | ||
2017–18 | 프로 리그 | 7위 | 32강 | ||
2018–19 | 프로 리그 | 8위 | 8강 | ||
2019–20 | 프로 리그 | 3위 | 32강 | ||
2020–21 | 프로 리그 | 6위 | 우승 | 조별 리그 | |
2021–22 | 프로 리그 | 5위 | 16강 | 16강 | |
2022–23 | 프로 리그 | 7위 | 16강 | 8강 |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풀라드 FC는 이란 프로리그에서 2회 우승(2004-05, 2013-14)을 차지했고, 하즈피 컵에서는 2020-21 시즌에 우승을 기록했다. AFC 챔피언스 리그에는 여러 차례 진출하여 2022-23 시즌 8강이 최고 성적이다.
10. 수상 기록
이란 프로 리그에서 2회 우승(2004-05, 2013-14)을 차지했으며, 하즈피 컵에서는 1회(2020-21), 이란 슈퍼컵에서는 1회(2021) 우승을 기록했다.
10. 1. 국내 대회
풀라드 FC는 이란 프로 리그에서 2회 우승(2004-05, 2013-14)을 차지했으며, 하즈피 컵에서는 1회(2020-21), 이란 슈퍼컵에서는 1회(2021) 우승을 기록했다.11. 클럽 기록
''2023년 11월 14일 기준''
# | 이름 | 골 | 포지션 |
---|---|---|---|
1 | 루시아노 페레이라 | 76 | 공격수 |
2 | 사산 안사리 | 46 | 공격수 |
3 | 레자 노루지 | 36 | 공격수 |
4 | 바흐티아르 라흐마니 | 30 | 미드필더 |
5 | 아라쉬 아프신 | 29 | 공격수 |
6 | 이만 모발리 | 26 | 미드필더 |
7 | 에스마일 샤리파트 | 24 | 미드필더 |
8 | 베흐남 세라지 | 21 | 공격수 |
9 | 아흐마드 모멘자데 | 18 | 공격수 |
10 | 아야다 파토시 | 18 | 미드필더 |
# | 이름 | 출장 | 포지션 |
---|---|---|---|
1 | 사산 안사리 | 287 | 공격수 |
2 | 아유브 발리 | 253 | 수비수 |
3 | 바크티아르 라흐마니 | 209 | 미드필더 |
4 | 루시아노 페레이라 | 208 | 공격수 |
5 | 에스마일 샤리파트 | 191 | 윙어 |
6 | 에브라힘 미르자푸르 | 179 | 골키퍼 |
7 | 메르다드 자마아티 | 174 | 레프트 백 |
8 | 압돌라 카라미 | 160 | 수비수 |
9 | 아흐마드 압돌라자데 | 155 | 미드필더 |
10 | 모하마드 압샥 | 134 | 수비형 미드필더 |
아라시 아프신 | 134 | 스트라이커 | |
참조
[1]
웹사이트
Team info – Foolad F.C. Khuzestan
https://us.soccerway[...]
2023-02-17
[2]
웹사이트
خبرگزاری مشرق
http://www.mashreghn[...]
mashreghnews.ir
2013-05-14
[3]
웹사이트
باشگاه فولاد خوزستان
http://iranleague.ir[...]
وب سایت رسمی سازمان لیگ فوتبال ایران
2014-08-13
[4]
문서
http://www.fooladf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